티스토리 뷰

목차



    주휴수당, 받는 조건이 따로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요즘 아르바이트 시급이 오르면서 "나는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 고민하는 분들이 많아졌어요.
    특히 '시급 13,000원이 넘으면 못 받는다'는 말이 돌고 있는데, 과연 사실일까요?
    놓치면 손해 보는 알바 근로자의 권리,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일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하루치 임금을 더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즉, '정상적으로 일한 사람에게 유급으로 하루를 더 쉴 권리'를 주는 제도라고 볼 수 있어요.
    이건 모든 근로자에게 해당되는 '법적 권리'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은 다음 조건을 충족할 경우 받을 수 있어요.

     

    조건 내용
    근무시간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출근율 근로계약서 상 정해진 날에 결근 없이 출근

     

    즉, '주 15시간 이상'이 핵심 조건이며, 이 기준을 넘기면 시급과 상관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시급 13,000원이 넘으면 주휴수당 못 받는다'는 말의 진실

     

    이 말은 사실이 아닙니다! ❌
    주휴수당은 '시급이 얼마냐'가 아니라, '주 15시간 이상 성실하게 근무했느냐'가 기준입니다.
    시급이 13,000원이든 15,000원이든, 조건만 충족하면 반드시 주휴수당이 지급돼야 합니다.

     

    일부 고용주가 '너는 시급이 높으니까 주휴 안 줘도 돼'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명백한 위법입니다.
    근로기준법 어디에도 '시급이 일정 금액 이상이면 주휴수당 제외'라는 조항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은 얼마 받을 수 있을까?

     

    주휴수당은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으로 계산해요.
    예를 들어, 시급이 15,000원이고 하루 5시간씩 주 5일 근무한다면?

     

    항목 계산 금액
    일급 15,000원 × 5시간 75,000원
    주휴수당 5시간 × 15,000원 75,000원
    주간 총임금 (75,000원 × 5일) + 75,000원 450,000원

     

    이렇게 주휴수당은 일급 수준으로 더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시급이 올라가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Q&A



    Q1. 시급 20,000원이면 주휴수당 안 줘도 되나요?

    아니요. 시급이 얼마든지 주휴수당 지급 기준(주 15시간 이상 근무 + 개근)을 만족하면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

     

    Q2. 주 14시간 근무하면 못 받나요?

    맞습니다. 주 15시간 미만이면 주휴수당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Q3. 알바 첫 주에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첫 주도 조건을 충족했다면 지급 대상이 됩니다.

     

    Q4. 주휴수당 미지급 신고는 어디에 하나요?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또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Q5. 고용주가 주휴수당 대신 시급을 올려줬다면 괜찮나요?

    불법은 아니지만, 근로계약서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어야 하며 '주휴수당 포함 시급'임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당당하게 요구하세요!

     

    근로자의 권리는 법으로 보장되어 있습니다. 시급이 높다고 해서 주휴수당을 못 받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조건만 충족했다면, 누구나 정당하게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혹시 주휴수당을 못 받고 있다면 지금 바로 고용노동부에 문의해보세요!

     

    여러분의 권리, 스스로 챙겨야 지켜집니다 💪